**펌글 : 한국 D-Star User Group / HL5BPL
D-Star (Digaital Smart Technologies for Amateur Radio) 개요
D-star는 3년여의 연구 끝에 2001년에 일본아마추어무선연맹(JARL)에서 프로토콜을 발표한 것으로
종래의 아나로그 음성교신이 아닌 디지털 음성교신 (DV, Digital Voice) 및 저속과 고속 데이타 통신
(DD, Digital Data)을 위한 것입니다.
DV (Digital Voice, 디지털 음성교신)은 음성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켜 무전기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대편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여 다시 음성으로 만들어 수신하는 것입니다.
기존 무전기의 아날로그식 변조/복조와 대비되는 개념이죠.
HF 및 V/UHF 공히 밴드폭 6KHz를 가지며, 변조방식은 GMSK, 전파형식은 F7W 입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D-Star 리피터 및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세워지고 있으며 사용자수도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D-Star 교신은 HF 대에서의 실험적인 직접 교신 (Simplex 교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리피터를
이용한 교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구성은 Local에 하나 이상의 D-Star 리피터가 있고 여러개의 리피터가 모여서 하나의
Zone을 이룹니다. Zone 내의 리피터들은 별도의 Backborne 주파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Zone에 있는 리피터중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리피터를 게이트웨이 리피터라고 합니다.
이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인터넷을 경유하여 직접 교신이 안되는 원거리의 다른 Zone에 있는
리피터를 연결합니다.
하나의 리피터는 1.2 GHz, 430 MHz, 144 MHz 모듈, 게이트웨이 모듈 및 1.2 GHz DD (Digital Data)
모듈 중 하나 이상의 중계기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피터는 각 주파수대에 따른 노드 번호 (또는 Port 번호라고도 합니다)를 가지고 있는데 리피터
호출부호 뒤 8번째 자리에 하나의 기호로 표시합니다. 리피터 호출부호가 HL0ZZZ 라고 하면
HL0ZZZ 리피터의 1.2GHz 중계기는 HL0ZZZ_A (_는 Space 를 의미합니다), HL0ZZZ 리피터의
430 MHz 중계기는 HL0ZZZ_B, HL0ZZZ 리피터의 144 MHz 중계기는 HL0ZZZ_C, HL0ZZZ
리피터의 게이트웨이는 HL0ZZZ_G 이런 식으로 표시합니다.
일본에서는 노드번호 할당 방식이 약간 다릅니다. 144 MHz는 일본내에서 리피터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노드 번호가 없습니다. 430MHz가 노드 A 이고 1.2GHz가 노드 B 입니다.
그외에 리플렉터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여러개의 게이트웨이 (리피터 Zone ) 와 Hotspot
(나중에 설명) 들이 연결되어 있는 회의장 비슷한 것으로 연결되어 있는 어느 국에서 송신을 하면
리플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국들이 수신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마치 우리 연맹에서 운용하고
있는 광역망 중계기와 비슷한 작동을 합니다.
현재 국내에는 D-Star 리피터나 게이트웨이가 없기 떄문에 근거리에 있는 국과 직접 교신을 하지
않는 이상 Hotspot을 구성하여 인터넷을 경유해 외국의 리피터나 리플렉터에 연결하여 교신을
해야 합니다.
또는 D-Star용 무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DV Dongle이라는 장치를 PC에 연결하면 PC 내장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여 스피커/마이크를 사용해 인터넷을 경유해 D-Star 리피터나 리플렉터에 연결하여
교신을 할 수 있습니다.
Hotspot (Access Point)는 자작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에 소형 검퓨터인 라즈베리 파이를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설정하면 WIFI 동글 또는 휴대폰 테더링 등을 사용하여 이동식/
휴대용 D-Star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자동차 내에서도 충분히 교신을 즐길 수 습니다.
호출부호 설정하기
다른 국을 호출하거나 게이트웨이 또는 리플렉터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트랜시버 내의 Call Sign
Routing Register 에 호출부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호출부호 설정에는 4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UR CALL : 호출하고자 하는 상대국, 노드 또는 리플렉터의 호출부호. CQCQCQ를 지정하면
특정 상대를 지정하지 않고 CQ를 내거나 라운드테이블 교신시 사용합니다.
2) RPT1 : 연결하고자 하는 Local 리피터 노드의 호출부호
3) RPT2 : 목적지 리피터 또는 로칼 게이트웨이의 호출부호
4) MY Call : 내 자신의 호출부호
교신을 하려면 먼저 원격에 있는 리플렉터 또는 리피터에 연결하고
일단 연결이 되면 URCALL을 CQCQCQ로 바꾸어 교신을 하고
교신이 끝나면 그 리플렉터나 리피터로의 연결을 끊고...또는 계속 대기
이런 식으로 설정을 바꾸어 가면서 사용을 해야 하므로, 그 때 그 때 조작하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무전기의 메모리에 리피터/리플렉터 리스트등을 저장해 놓고 그 때 그 때 불러내 사용해야 합니다.
자동차 운전중에 조작한다고 하고 있으면 위험하겠죠.
**펌글 : 한국 D-Star User Group / HL5BPL
현재 한국 D-Star User Group 에서 XRF070 Server 를 운영하고 있고
미국 에서는 XRF117 Server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년8월 현재 에는 XRF070 과 XRF117을
Link 하여 한국과 미국에서 같은 시간에 서로 송수신이 가능해졌습니다.
여러 OM님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필요한 장비및 가격대
D-Star Radio : $300 ~$500
DVAP or DVMEGA : $140 ~ $260
Raspberry Pi : $40 ~ $70
Kara Echolink 사진도 같이 올립니다.
***
D-star 에 관한 정보를 원하시는분 께서는 한국 D-Star User Group 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http://cafe.daum.net/d-star